감상 (感想)

1917 _ 전쟁의 한가운데에


1917 

전쟁의 한가운데에

샘 멘데스의 영화 ‘1917’은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거대한 전쟁 속 두 명의 병사가 맡았던 하나의 미션을 쫓는 이야기다. 적의 함정으로 예상되는 공격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것인데, 그 과정 아니 동선은 적의 진지를 넘어가야 할 뿐만 아니라 시간 상으로도 몹시 다급하다. 

전쟁영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하나는 마치 관객이 포화가 퍼붓는 전쟁의 한가운데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만드는 (주로 핸드헬드 방식의 촬영이 동원되는) 액션이 주가 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마치 테렌스 멜릭의 ‘씬 레드라인’처럼 전쟁의 한가운데에 있는 인물의 심리에 집중해 ‘전쟁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사유하는 방식이다. 이 두 가지 방식 모두가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은 이 가운데에 결코 전쟁의 참혹함을 미화하는 것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액션이 주가 된 전쟁영화의 경우 표면적으로는 당연히 반전을 내세우고 있지만,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관객들에게 자연스러운 쾌감을 전달하게 되는 우를 범하기도 한다 (아군과 적군이라는 경계를 통해 말이다). 

그런 측면에서 샘 멘데스의 ‘1917’은 두 가지 모두를 취하려는 목적을 가진 야심 찬 전쟁영화다. 일단 샘 멘데스와 촬영감독 로저 디킨스는 이 영화를 원 컨티뉴어스 방식으로 촬영했다. 흔히 원테이크 방식을 떠올리게 되는데, 정확히는 여러 테이크로 촬영한 영상을 한 번의 테이크로 촬영된 것처럼 편집을 통해 연결한 촬영 방식이다. 원 컨티뉴어스 숏으로 촬영된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주인공 스코필드 (조지 맥케이)의 등 뒤에서 혹은 몇 발자국 앞에서 동선을 리드하기도 뒤쫓기도 한다. 철저하게 계산된 동선은 여러 차례 반복된 리허설을 통해 완성되었는데 이를 통해 관객은 자연스럽게 전선의 한가운데에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원 테이크나 원 컨티뉴어스 숏의 장점은 인물의 주변과 배경을 더 실감 나게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다. 클로즈업이나 컷으로 나누어 어떤 배경이나 인물을 주목하지 않더라도 마치 극 중 인물이 된 것처럼, 3인칭 시점임에도 전체를 바라볼 수 있게 만든다. 이 것은 영화가 어떤 지점을 특별히 강조하지 않더라도 한눈에 상황을 확인하고 공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훨씬 세련되고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이 같은 장점은 스코필드가 블레이크와 함께 임무를 맡고 처음 전선을 빠져나갈 때까지의 동선에서 완벽하게 드러난다. 별다른 서사없이 바로 임무를 맡고 본격적 여정이 사실상 영화 시작과 동시에 출발함에도 관객이 쉽게 동화될 수 있는 것은, 이미 그 짧은 과정 (동선) 속에 많은 정보가 있었기 때문이다.

앞서 전쟁영화가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이 어떤 식으로든 전쟁을 미화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점이라고 했는데, 전쟁의 한가운데에 있지만 전투의 한가운데는 있지 않은 이 이야기의 리듬감과 영화적 쾌감을 ‘1917’은 촬영기술의 우수함으로 완벽히 채운다. 명령을 전달하는 과정 속에 우연한 만남이 가져다준 아름다움을 조심스럽게 바라보고, 깜깜한 밤하늘에 터지는 조명탄이 만들어 낸 풍경을 통해 잠시나마 환상적인 (그래서 영화적인) 경험을 선사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도 이야기가 끝난 시점에서 전쟁의 어떤 지점도 옹호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1917’은 단순히 기술적 완성도로 이야기되는 영화가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와 작품적 완성도를 가진 영화가 된다. 아마 ‘1917’은 이후 제작될 수많은 전쟁영화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지 않을까?

Tagged , , , , ,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